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핵심 사항
- 추간판 탈출증이란 척추뼈 사이의 조직 쿠션이 제자리를 이탈한 상태를 말합니다.
- 추간판 탈출증은 물리치료, 보조기 등으로 치료되며 경우에 따라 약물 치료, 수술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 근육이 약해지지 않도록 하고 자세를 올바르게 하는 것이 디스크 질환 예방에 도움이 됩니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추간판 탈출증이란 무엇입니까?
추간판 탈출증은 목이나 등의 디스크가 제자리에서 튀어나온 상태를 말합니다. 디스크는 척추(요추) 뼈 사이의 고무 같은 완충 쿠션입니다. 디스크는 척추 뼈 사이에서 충격을 흡수하는 역할을 합니다. 디스크가 돌출되면 근처 신경이 눌려 통증을 비롯한 여러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추간판 탈출증을 디스크 파열이라고도 합니다.
원인이 무엇입니까?
추간판 탈출증은 대개 나이가 들면서 척추가 마모되고 부서지면서 발생합니다. 부상으로 인해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계속해서 목, 허리를 무리하게 사용하면 추간판 탈출증 위험이 높아집니다. 예를 들어 적절치 못한 방법으로 무거운 것을 들어올리거나, 밀거나, 잡아당기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과체중도 허리에 부담을 줄 수 있습니다. 다음의 경우에도 추간판 탈출증 위험이 높아집니다.
- 흡연자인 경우
- 허리 지지대 없이 장시간 앉아 있는 경우
- 노트북 작업을 자주 하는 경우
- 트럭 운전사 등 운전을 오래 하는 경우
어떤 증상을 보입니까?
추간판 탈출증 증상은 서서히 또는 갑작스럽게 시작될 수 있습니다. 증상 부위는 탈출된 추간판 위치에 따라 달라집니다. 일반적으로 많이 나타나는 증상은 엉덩이, 어깨, 다리, 팔 등이 감각이 없거나, 얼얼하거나, 아프거나, 힘이 주어지지 않는 것입니다.
어떻게 진단합니까?
의료 전문가가 증상과 활동, 병력에 대해 물어볼 것입니다. 그리고 척추를 진찰할 것입니다. 다음과 같은 검사가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 팔, 다리의 움직임과 반사작용 검사
- 척추 X선 등의 촬영 검사
- 근육의 활동 전위를 검사하는 근전도
어떤 치료 방법이 있습니까?
의료 전문가가 다음과 같은 사항을 권고할 수 있습니다.
- 휴식. 몸을 계속 움직이는 게 가장 좋으므로 침대에 1-2일 또는 의료 전문가가 권한 시간 이상 누워 있지 않아야 합니다.
- 약물. 여러 종류의 약물이 요통을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경구 복용약을 사용하거나 의료 전문가가 척추에 스테로이드 주사를 놓을 수 있습니다. 의료 전문가가 권하는 모든 약물을 복용합니다.
- 물리 치료. 여기에는 마사지, 견인(신경에 가해지는 압박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되도록 척추에 힘을 가함), 기타 치료가 포함될 수 있습니다. 허리 강화 운동으로 다칠 위험을 줄일 수 있습니다. 일이나 스포츠를 할 때 허리를 보호하는 방법도 배울 수 있습니다.
- 목 받침 또는 허리 보조기. 잠시 동안 보조기를 착용하면 환부가 낫는 동안 목이 올바른 자세를 유지하도록 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통증은 치료를 받으면 몇 주 안에 호전되지만 몇 달 동안 계속될 수 있습니다. 통증이 계속되면 의료 전문가가 스테로이드 주사를 놓을 수도 있습니다. 증상이 계속 사라지지 않으면 의료 전문가가 수술을 권할 수 있지만 수술이 필요한 경우는 드뭅니다.
자가 관리법에는 어떤 것이 있습니까?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통증을 줄일 수 있습니다.
- 의료 전문가의 지시에 따라 진통제를 복용합니다.
- 얼음주머니 또는 채소를 얼려 천에 싼 것을 3-4시간마다 한 번에 최대 20분 동안 환부에 대고 있습니다. 며칠이 지나면 낮은 온도에 맞춘 열 패드나 수건으로 싼 뜨거운 물병도 도움이 됩니다.
척추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항상 올바른 자세를 취합니다.
- 어깨를 펴고 배를 집어넣은 상태로 곧게 섭니다. 장시간 서있어야 하는 사람은 자주 움직이고 두 다리에 교대로 무게중심을 싣습니다. 가능하면 약 6-8inch(15-20cm) 높이의 발판에 한쪽 발을 올려 놓습니다. 이렇게 하면 허리가 곧게 펴지고 척추에 무리가 덜 갑니다.
- 허리를 잘 받쳐 주는 의자에 앉습니다. 발은 바닥에 딱 붙이거나 발판 위에 올려 놓습니다. 20분마다 일어나 스트레칭을 합니다.
무거운 것을 들어올릴 때에는 허리를 구부리지 않습니다. 무릎을 굽혀 들어올릴 물건 옆에 쪼그리고 앉습니다. 가능한 한 허리를 구부리지 않습니다. 물건을 들어올릴 때에는 허리 대신 허벅지 근육을 사용합니다. 몸을 돌리지 않습니다. 물건을 들어올리거나, 내리거나, 옮길 때에는 항상 물건과 몸 사이가 멀리 떨어지지 않도록 합니다.
잘 때에는 허리를 받쳐 주는 가장 편한 자세로 잡니다. 예는 다음과 같습니다.
- 단단한 매트리스나 아래에 딱딱한 판자가 있는 매트리스에 똑바로 눕습니다. 똑바로 누워 있을 때에는 무릎 아래에 베개를 둡니다.
- 가슴 아래에 베개를 두고 엎드립니다.
- 다리 사이에 베개를 끼고 옆으로 눕습니다.
- 편안한 자세를 잡을 수 없는 경우에는 무릎을 90도 각도로 접고 똑바로 눕습니다. 의자에 똑바로 앉았을 때와 동일한 각도입니다. 바닥에 누워 무릎을 구부리고 종아리를 의자 위에 올리면 위의 자세가 나옵니다.
추천 운동 등 의료 전문가의 지시를 잘 따릅니다. 의료 전문가에게 다음 내용을 확인합니다.
- 검사 결과가 언제, 어떤 방식으로 전달되는지
- 회복 기간이 얼마나 되는지
- 하지 말아야 하는 일에는 어떤 것이 있는지와 정상 생활이 가능한 때는 언제인지
- 집에 돌아가 어떤 식으로 관리를 해야 하는지
- 주의해야 할 증상이나 문제에는 어떤 것이 있는지와 이런 증상, 문제가 나타날 경우 어떻게 해야 하는지
진찰을 받으러 와야 하는 날짜와 시간을 확인해야 합니다. 모든 진료 또는 검사 예약을 지키도록 하십시오.
어떻게 하면 추간판 탈출증을 예방할 수 있습니까?
- 근력을 강화해 근육이 척추를 잘 떠받칠 수 있도록 합니다. 걷기와 수영은 척추의 힘을 기르고 척추를 보호하는 좋은 운동입니다.
- 과체중 환자는 체중을 줄입니다.
- 올바른 자세를 유지합니다.
Developed by RelayHealth.
이 내용은 정기적으로 검토하며 새로운 건강 정보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 이 정보는 정보 제공과 교육을 위해 사용되며 의료 전문가의 치료, 의학 평가, 조언, 진단용으로 대체되지 않습니다.
Copyright © 2016 RelayHealth, a division of McKesson Technologies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