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핵심 사항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힘줄은 근육과 뼈를 연결하는 띠 형태의 강한 조직입니다. 힘줄은 갑작스럽게 손상될 수도 있고 오랜 시간 동안 천천히 손상될 수도 있습니다. 힘줄이 아주 조금 또는 일부가 찢어질 수 있습니다. 힘줄이 완전히 찢어진 상태를 파열이라고 합니다. 그 외 힘줄 부상에는 염좌, 건병증, 건염 등이 있습니다.
힘줄 부상은 대부분 너무 빨리 활동이나 운동 프로그램의 시간을 늘리거나 강도를 높였을 때 발생합니다. 무릎, 발, 종아리 힘줄 부상은 달리기와 높이 뛰는 동작이 포함된 스포츠 선수에게서 흔하게 나타납니다. 무릎 힘줄 부상은 자전거를 탈 때에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수영, 골프, 공 던지기 등의 운동은 어깨 힘줄 부상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낡은 신발을 신은 경우, 비만인 경우에도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다리가 오자형이거나, 양쪽 다리 길이가 맞지 않거나, 평발인 경우에도 힘줄을 다칠 수 있습니다. 힘줄 부상은 키보드 작업을 하거나 망치질을 할 때처럼 반복 작업을 할 때에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증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의료 전문가가 증상과 활동, 병력에 대해 묻고 진찰할 것입니다. X선이나 기타 촬영 검사가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부상은 가벼울 수도, 심할 수도 있습니다. 가벼운 힘줄 부상의 통증은 대개 자가 치료로도 2주 내에 사라지지만 문제를 방치할 경우 증상이 심해질 수 있습니다. 가끔씩 나타나던 통증이 운동 전후, 운동 시 계속해서 아프고 뻣뻣해지는 증상으로 바뀝니다. 아픈 힘줄 주변을 만지면 힘줄에 통증이 느껴집니다.
2주 내에 문제가 사라지지 않으면 의료 전문가를 찾으십시오. 의료 전문가가 집에서 할 수 있는 운동을 알려 주거나, 물리치료 또는 약을 처방하거나, 환부를 보호하고 받치는 부목을 대줄 것입니다. 통증이 계속되면 의료 전문가가 스테로이드 주사를 놓을 수도 있습니다.
염증이 생긴 힘줄을 치료하지 않으면 파열될 수 있습니다. 이렇게 되면 깁스나 수술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통증이 있는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합니다.
환부에 무리가 되거나 통증을 유발하지 않는 활동은 계속해도 됩니다. 어떤 일을 하기 전에는 꼭 근육을 늘려 주는 운동을 합니다. 또한 크로스 트레이닝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즉 몸의 한 부분만을 지나치게 사용하지 않도록 한 가지 운동만이 아닌 여러 활동을 하는 것입니다.
운동을 하기 전에 준비 운동과 스트레칭을 하면 부상을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운동 후 스트레칭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운동 후 통증이 있는 경우 아픈 부위에 얼음 찜질을 하면 부상을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일이나 스포츠를 할 때 권고되는 안전 장비를 사용하고 안전 규칙을 준수합니다. 예를 들어 운동을 할 때에는 잘 맞는 전용 신발을 착용합니다.
스포츠나 작업을 할 때에는 자세를 올바르게 합니다. 예를 들어 테니스를 칠 때에는 정확한 자세로 공을 치고 손잡이